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주식종목

일라이 릴리(LLY) 주가·전망·배당금·특징 총정리 (의약품 개발)

목차

     

    789789

     

     

    일라이 릴리

    일라이 릴리(Eli Lilly)는 1876년 미국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제약사 엘라이 릴리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초기에는 혁신적인 조제 방식과 신뢰할 수 있는 의약품 생산으로 기반을 다졌습니다.


    20세기 들어서는 세계 최초로 인슐린을 상업화하며 당뇨병 치료 분야에서 큰 전환점을 만들어냈고, 이후 항우울제와 항암제 등 다양한 신약을 출시하며 글로벌 제약사로 성장했습니다.


    1980년대 이후로는 바이오의약품과 생명공학 분야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며 글로벌 R&D 네트워크를 확장했습니다.


    현재는 당뇨병, 암, 신경질환, 면역질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 신약을 개발하며 세계 주요 제약기업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1) 주요지표

    789789
    <네이버>
    789789
    789789
    <네이버>

    종목명 일라이 릴리 (LLY)
    상장 뉴욕 거래소
    시가총액 6,876억 달러
    (한화 약 964조원)
    주가 726.51달러
    주당배당금 6.00 달러
    배당수익률 0.83%
    BPS 19.30 달러
    PBR 37.65 배
    EPS 20.98 달러
    PER 34.63 배

    *2025년 9월 30일 <네이버증권> 기준

     

    2) 사업분야

    일라이 릴리(LLY)는 혁신적인 의약품 연구와 개발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글로벌 제약사입니다.


    주요 사업은 당뇨병 치료제 분야로, 인슐린과 GLP-1 계열 치료제를 포함해 전 세계 환자들에게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또한 항암제 부문에서도 면역항암제와 표적치료제를 통해 치료 옵션을 넓히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신경과학 분야에서는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면역학 부문에서는 자가면역질환을 대상으로 한 혁신 치료제를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글로벌 시장 확대와 디지털 헬스 기술 접목을 통해 환자 중심의 치료 환경을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3) 투자현황

    2025년을 기준으로 일라이 릴리는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생산 설비 확대에 집중하고 있으며, 특히 텍사스 휴스턴에 차세대 체중감량 신약의 원료를 생산할 신규 공장 설립을 추진 중입니다.

    아울러 아일랜드의 기존 제조 시설에도 알츠하이머 치료제와 비만·당뇨 치료제의 생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투자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회사는 R&D 부문에서도 초기 및 후기 임상 연구 포트폴리오를 계속 확대하며, 2024년에는 신규 3상 임상시험을 여럿 개시한 바 있습니다.

    더불어 2025년 2분기 기준 회사의 연구개발비는 전년 대비 상당 폭 증가한 수준을 보이며 지속적인 혁신 추구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와 병행해 회사는 건물, 장비, 진단 및 제조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며 설비 노후화 대응과 생산 안정성 확보에도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처럼 일라이 릴리는 설비 증설과 R&D 강화 양 축을 통해 장기적 성장 기반을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4) 강점분석

    일라이 릴리는 당뇨병·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강한 입지를 확보하며 GLP-1 계열 약물과 복합 치료제 분야에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광범위한 치료 영역을 아우르는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어 특정 제품이나 질환에 대한 리스크가 분산됩니다.

    깊은 연구개발 역량과 활발한 임상 파이프라인 덕분에 미래 신약 출시 가능성이 높게 평가받고 있습니다.

    글로벌 진출 및 생산 인프라 확장을 통해 여러 국가에서 안정적인 시장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최근 AI, 유전자·분자 치료제 등 혁신 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차별화된 경쟁 우위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5) 약점분석

    일라이 릴리는 특정 블록버스터 의약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특허 만료 시 매출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또한 고도화된 신약 개발 과정에서 임상 실패 위험이 존재하며, 이는 비용 증가와 출시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비만·당뇨 치료제 분야의 치열한 경쟁은 시장 점유율 확보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더불어 글로벌 규제 환경 변화와 약가 압박은 수익성 관리에 지속적인 도전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6) 향후전망

    현재 일라이 릴리(LLY) 의 상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비만·당뇨 치료제인 Zepbound과 Mounjaro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강한 성장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회사는 이에 맞춰 생산 인프라 확장과 글로벌 유통 네트워크 강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예: 미국 내 신규 공장 투자 등) 

    또한 다양한 라이선스 계약과 인수합병을 통해 암, 신경질환 등 비(非)대사질환 분야를 보강해 가고 있습니다,

    임상 파이프라인도 폭넓게 구축되어 있어 혁신 신약 출시에 대한 기대감이 높으며, 제약 업계 내에서 기술적 우위와 브랜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일부 실험 약물의 임상 중단 사례나 규제 리스크, 경쟁 심화 등은 여전히 주의해야 할 요소로 남아 있습니다.

     

    향후 2025년 전망은 다음과 같이 예상됩니다.

    일라이 릴리는 미국 내 4개 신규 제조시설 구축 계획을 포함한 대규모 설비 투자를 통해 생산 역량을 크게 끌어올릴 예정이며, 이는 향후 공급 안정성과 비용 구조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비만·당뇨 치료제의 글로벌 시장 확대 전략도 본격화될 전망으로, 신흥국 시장 진출과 적응증 확대가 매출 성장을 견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 인수한 암 치료 후보물질과 다양한 라이선스 포트폴리오가 성공적으로 임상 진전된다면 회사의 성장 축이 대사질환 외 분야로도 확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종합적으로, 2025년에는 생산능력 확충, 시장 다변화, 혁신 신약 출시 등의 전략이 맞물리며 일라이 릴리가 제약 업계에서 더욱 강한 입지를 확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7) 뉴스기사

    미국 일라이릴리 공장 확보한 셀트리온…도이치·JP모간이 각각 단독 자문
    2025.09.26 14:19 | 연합인포맥스 | 서영태 기자

    의약품 관세에 현지 공장 인수
    중요해진 국경간거래…글로벌 IB 존재감

    셀트리온이 글로벌 빅파마 일라이 릴리로부터 미국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을 사들인 가운데 셀트리온과 일라이 릴리를 각각 단독 자문한 하우스는 JP모간과 도이치뱅크로 전해졌다. 두 하우스는 올해 최대 인수합병(MA) 딜 중 하나인 DIG에어가스 거래에도 참여하며 존재감을 보였다.

    출처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76496
    셀트리온, 일라이 릴리와 美 공장 인수 본계약 체결
    2025.09.30 09:51 | 한경닷컴

    관세 리스크 해소하고 세계 최대 시장서 경쟁력 강화 나선다

    셀트리온은 일라이 릴리와 약 4,600억원 규모의 미국 뉴저지주에 소재한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출처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9306928P
    릴리도, Aβ ‘키순라’ 재심끝에 AD “유럽 시판허가”
    2025.09.30 11:15 | 바이오스펙테이터 | 신창민 기자

    2달전 CHMP 긍정으로 돌려세운 후 유럽서 “2nd Aβ 항체” 진입성공..‘ARIA 완화’ 新투여용법 적용

    일라이릴리(Eli Lilly)도 아밀로이드베타(Aβ) 항체 ‘키순라(Kisunla, donanemab)’의 승인 재심사를 받은 끝에 유럽(EU)에서 시판허가에 성공했다. Aβ 항체 선두인 에자이(Eisai)의 ‘레켐비(Leqembi)’에 이어 키순라도 유럽 시장에 본격 진입할 수 있게됐다.

    출처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6486

     

    Always be full of luck and have a nice day.